재활의료공학과
재활의료공학과는 장애인과 노인의 삶을 편리하게 하고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자 맞춤 제작, 개발, 서비스하는 이론과 임상의 실용학문이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소개
재활의료공학은 장애인과 노인의 삶을 편리하게 하고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자 맞춤 제작, 개발, 서비스하는 이론과 임상의 실용학문이다.
비전
21세기 역량강화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하여 기술을 통한 장애인‧노인의 사회통합과 자립생활을 보장하는 핵심분야 전문인력으로 재활공학사 학위가 수여되며 의지‧보조기기사와 보조공학사 국가자격 인재를 양성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특성화 전략
취득자격증
졸업 후 진로
재활병원, 재활원, 장애인 및 노인복지관, 특수교육지원센터, 실버타운, 보조공학센터, 보건‧복지‧재활‧의료 관련 공단 및 연구기관, 재활공학연구소, 의지보조기‧재활보조기기‧고령친화제품 기업 창업 및 취업, 재활공학전공 대학원 진학 및 유학
산학협력(교류)기관 현황
- 정부‧공공기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정보문화진흥원, 한국장애인도서관
- 연구소 :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 병원 : 국립재활원, 서울보훈병원 보장구센터
- 복지관/센터 : 서울시장애인복지관 보조공학서비스센터,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인천시 노틀담장애인복지관 자세유지센터‧보조기구센터, 대전보조기구센터, 제주도보조기구센터, 광주광역시보조기구센터, 서울시강남구장애인자립생활센터 보조공학센터
- 기업 : (주)서울의지, 한일의수족보조기센터, 대성의지재활연구소, (주)유진메디케어, (주)에이디정보통신, (주)유비큐, (주)오토복코리아, (주)대세엠케어, with R&A, 하나메디케어
※ [장애인‧노인 등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및 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2015년 제정되었고 이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보조공학사는 경과 기간 3년을 거쳐 국가자격(보건복지부) 인정 전문인력으로 명시
교수소개